맨위로가기

일요일밤의 대행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요일밤의 대행진은 1981년부터 1988년까지 MBC에서 방송된 코미디 쇼 프로그램이다. 초기에는 쇼 프로그램 형식으로 시작하여 김병조가 진행하는 시사 풍자 코너인 '일요일 밤의 뉴스 대행진'으로 인기를 얻으며 포맷을 변경했다. 김병조 하차 후 MC 체제로 전환하여 '일요일 일요일 밤에'로 명칭을 변경했다. 주요 코너로는 '일요일 밤의 뉴스 대행진', '미스터 주', '최병서의 따따부따' 등이 있었으며, 1980년대에는 60~70%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1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뽀뽀뽀 아이 조아
    《뽀뽀뽀 아이 조아》는 1981년부터 2013년까지 MBC TV에서 방송된 대한민국의 어린이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출연진과 캐릭터로 인기를 얻었으나 시청률 하락으로 2013년에 종영되었다.
  • 1981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KBS 뉴스 930
    KBS 뉴스 930은 KBS 1TV에서 평일 오전 9시 30분에 방송되는 주부 대상 생활 밀착형 종합뉴스 프로그램으로, 2024년 5월 20일부터 30분간 방송되며 긴급 뉴스 시 KBS 뉴스특보 등으로 편성된다.
  • 1988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세 여인
    세 여인은 MBC에서 방영된 주말연속극으로, 최명길, 이혜숙, 김청을 비롯한 여러 배우들이 출연하여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 1988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원미동 사람들 (드라마)
    원미동 사람들 (드라마)은 1988년 방영된 드라마로, 다양한 배우들이 출연하여 8회 동안 은혜네 내 집 마련, 슈퍼마켓 경쟁, 파업 등 1988년 당시 사회상을 반영한 에피소드를 다루었다.
  • 대한민국의 코미디 텔레비전 프로그램 - 장르만 코미디
    JTBC에서 2020년 7월부터 11월까지 방송된 코미디 프로그램인 장르만 코미디는 웹툰, 드라마, 음악 등 다양한 장르와의 협업과 여러 코너 및 게스트 출연, 그리고 김준호, 유세윤, 안영미 등 코미디언들의 활약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다채로운 웃음을 선사했다.
  • 대한민국의 코미디 텔레비전 프로그램 - 개그콘서트
    개그콘서트는 1999년 첫 방송 후 2023년 시즌2로 재개된 대한민국 최장수 개그 프로그램으로, 공개 코미디 형식을 도입하고 '개그' 용어 대중화, 콘서트 무대 연출 등 획기적인 시도를 통해 대한민국 코미디 역사를 대표한다.
일요일밤의 대행진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프로그램 정보
방송명일요일밤의 대행진
장르코미디
방송 시간일요일 저녁 7시 ~ 8시
방송 분량1시간
방송 기간1981년 3월 29일 ~ 1988년 11월 20일
방송 채널MBC
출연자본문 참조
음성1채널 모노 사운드
고화질 방송 여부아날로그 제작 · 방송
후편일요일 일요일 밤에

2. 역사

박상규가 진행한 초창기에는 콩트를 곁들인 쇼 프로그램 형식이었고, 김병조의 시사 풍자 코너 '일요일 밤의 뉴스 대행진'이 큰 인기를 얻었다. 1983년 11월, 방송 시간대가 오후 8시로 변경되고 포맷이 '일요일 밤의 뉴스 대행진' 중심으로 바뀌면서 김병조가 앵커를 맡아 쇼 전체를 뉴스처럼 진행했다. 내용은 콩트 중심 코미디에 쇼가 곁들여지는 형태였다.

1987년 민정당 전당대회 사건으로 김병조가 하차한 후, '뉴스 앵커' 형식에서 'MC'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1988년 11월 20일까지 방영된 후 《일요일 일요일 밤에》로 이름이 바뀌었다.

2. 1. 초창기 (1981년 ~ 1983년)

박상규가 진행하며 콩트를 곁들인 쇼 프로그램 형식으로 시작했고, 김병조가 진행하던 시사 풍자 코너인 '일요일 밤의 뉴스 대행진'이 최고의 인기를 얻었다.

2. 2. 포맷 변경 및 전성기 (1983년 ~ 1987년)

1983년 11월, 방송 시간대가 오후 8시로 변경되면서 전체적인 포맷이 일요일 밤의 뉴스 대행진 중심으로 바뀌었다. 김병조가 앵커를 맡아 쇼 전체를 뉴스처럼 진행하는 형식으로 전환되었으며, 콩트 중심의 코미디 프로그램에 약간의 쇼가 곁들여지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시사 풍자 코미디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다.

2. 3. 김병조 하차 및 종영 (1987년 ~ 1988년)

1987년 민정당 전당대회 사건 이후 김병조가 하차하고, 진행 체제를 '뉴스 앵커' 형식에서 'MC' 형식으로 변경하였다. 1988년 11월 20일까지 방영되었고 그 다음 주부터는 《일요일 일요일 밤에》로 명칭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방송 시간대

방송 채널방송 기간방송 시간방송 분량
MBC1981년 3월 29일 ~ 1983년 10월 30일밤 10시 ~ 11시1시간
1983년 11월 6일 ~ 1984년 4월 8일밤 8시 ~ 9시1시간
1984년 4월 22일 ~ 1988년 11월 20일저녁 7시 ~ 8시1시간


  • 1984년 4월 15일에는 권투 중계로 인해 방송되지 않았다.

4. 역대 코너

다음은 '일요일밤의 대행진' 프로그램의 역대 코너 목록이다.

4. 1. 주요 코너


: 시사 풍자 코미디 코너로, 김병조는 아나운서(확대 개편 후 앵커), 강석, 이규혁, 김창준 등은 기자(확대 개편 후 PD)로 출연했다. "일요일 밤의 뉴스 대행진에서 바라본 오늘의 세계!"라는 멘트로 그날의 내용을 한마디로 축약했는데, 이는 TBC 뉴스에서 봉두완 앵커가 썼던 멘트를 패러디한 것이다. '먼저 인간이 되어라', '지구를 떠나거라' 등의 유행어가 있었다.

  • 박세민의 비디오 개그 (출연: 박세민)

  • 이주일의 카운터 펀치 (출연: 이주일)

  • 최후의 심판 <심판대> (출연: 전정희)

  • 88 DJ (출연: 이용식)

  • 미스터 주 (Mr. 酒, 출연: 이용식, 이경실, 김상호)

: 대표적인 유행어는 '가고, 오고, 오고, 가고, 가는 사람 왜 붙잡아?', '빠른 시일내에 믿어? 못믿어?' 등이다. '다들 이불개고 밥먹어'라는 노래는 이 코너를 위해 작곡되어 김상호가 이용식에게 불러줬고, 훗날 신화가 리메이크했다.
: 대표적인 유행어는 '니는 밥만 먹고 사나?', '니는 밥 안먹고 떡먹고 사나?'이다.
: 최초의 정치인 성대모사 코너로, 대통령도 개그 소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처음 보여주며 큰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대표적인 유행어는 '왜 나만 갖고 그래.'이다.
: 1988년 당시 신인 개그맨이던 박미선의 데뷔작이자 출세작. 함께 출연한 정재윤, 이웅호 역시 만 20세의 신인으로 MBC 개그맨 세대교체 바람을 예감케 했다.

  • 사건과 신사 (출연: 이용식, 황기순)

: 이용식과 황기순이 매 회마다 다른 사건(예: 가짜 자선냄비)을 일으키는 코너였다. 대표적인 유행어는 '나라고 다 성공할 수 있냐?'이다.
: 매회 다른 개그맨이 게스트로 출연, 신세한탄을 하거나 행패를 부리면 김기현의 지시에 의해 김병조가 판결을 내렸다. 대표적인 유행어는 '병조야, 판결을 내리거라.'이다.

  • 보물을 찾아라

: 사극과 동일한 형식으로 야외 세트장에서 촬영되었다.

  • 심통공작 심술하인 (출연: 이용식, 이경규)

: 2010년 2월 14일부터 2010년 5월 16일까지 하땅사에서 후속 코너인 '''돌아온 도루묵 소녀'''가 방영되었다.

5. 시청률

1980년대 초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60~70%대의 시청률을 기록하여, MC이자 코미디언 김병조는 최고의 인기를 누렸다.

6. 테마곡

음악그룹 보니 M.의 'Happy Song(해피송)'이 엔딩곡으로 쓰였다.

7. 경쟁 프로그램

KBS 2TV쇼 비디오 자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